적은 금액을 투자하는 소액주주이지만
아직도 주식 관련 용어들은 생소합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저는 코스피나 코스닥?
이런 용어들의 뜻이나 구별도 못했는데요
너무 당연해서 당연히 알 거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누구한테 물어보기도 어렵고
그렇다고 속시원하게 누가 알려주지도 않지요
우리나라 주식 시장에
조금이라도 투자를 하려는
저 같은 주린이를 위해
주식시장의 기본 용어를 정리해볼게요
주식 시장의 종류
주식을 거래하는 곳을
우리가 물건을 사고파는 것처럼
시장이라고 표현합니다
우리나라에는 2곳의 시장이 있는데요
코스피와 코스닥입니다
이 2곳은 한국거래소에서 관리감독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거래소에서 코스피와 코스닥
이 2곳 시장을 주최하는 것이죠
그럼 이 2곳을 한번 비교해 볼게요
코스피 (= 유가시장 = 유가증권시장)
: 우리가 아는 전통적인 큰 기업들이 속해 있는 시장입니다
예를 들면 삼성, 현대, SK, 엘지, 포스코 등등
코스닥
: 신기술이나 IT 등 신기업이나 벤처기업들이
속해있는 시장입니다
예를 들면 씨젠, 카카오 게임즈, JYP 등등
예전에는 대기업들이 강세라서
코스피는 큰 기업, 코스닥은 벤처기업
이렇게 나누었지만
지금은 대기업들을 위협하는 벤처기업들이 강세라서
두 곳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답니다
지수의 종류
2가지 지수가 있지만
중요한 3가지 지수를 알면 돼요
코스피 지수
코스닥 지수
코스피 200 지수
그럼 지수들을 한번 살펴볼게요
코스피 지수 = 종합 주가 지수
:가장 대표적인 지수입니다
코스피는 1980년 1월 4일에
지수 100으로 지수가 시작했습니다
아래는 40년간의 코스피지수 성장입니다
아래는 오늘 2021.2.11 코스피 지수입니다
코스닥 지수 아래 현재 2021.2.11 지수입니다
종목 이름
주식 종목 이름을 숫자로 대신하는데요
그래서 주식을 거래할 때는 회사의 이름이 아니라
6자리 숫자를 사용하는 것이죠
회사 이름이 비슷해서 실수가 생길 수 있으니
정확하게 주식을 주문하기 위해 번호를 사용합니다
학교에서 학생 이름 대신 번호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거라고 생각하면 된답니다
삼성전자 = 005930
현대차 = 005389
네이버 = 035420
카카오 = 035720
주식 주문 시간
주식 시장도 시장이기 때문에
24시간 열리지는 않아요
열리고 닫히는 시간이 정해져 있는데요
주식 시장 시간이 열려있을 때는
장중, 장시간, 정규장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월요일~금요일
오전 9시 ~ 오후 3시 30분
열린답니다
주식 시장 시간이 닫혀있을 때는
납폐일, 폐장일, 휴장일이라고 말하기도 하는데요
주말, 공휴일, 근로자의 날, 12월 31일에는
열리지 않는답니다
주식 주문 결제
주식을 살 때는 3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주문, 체결, 결제
주문은 말 그대로 어떤 주식을 사고 싶다고
주문을 내는 거예요
체결은 내가 낸 주문이 가격에 맞아서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만약 내가 낸 주문이 가격이 맞지 않으면
체결이 안될 수도 있답니다
결제는 주문을 내고 가격이 맞아서 체결이 되면
돈이 빠져나가는 것을 말합니다
결제는 체결이 된다고 돈이 바로 빠져나가지는 않고
2 영업일 뒤에 결제가 됩니다
실제 정산 방식
우리가 돈거래를 할 때
내가 10만 원을 친구한테 빌리고
친구는 나에게 5만 원을 빌리면
10만 원이 친구한테 갔다가
다시 나에게 5만 원이 오지는 않죠
그냥 내가 친구에게 5만 원을 주면 됩니다
주식 시장에서도 하루에 개인들의 매매 거래가
많이 반복이 되다 보니 모든 매매를 끝내고
그 결과만 정산을 한답니다
각자 알아서 매매를 하고
나중에 결과만 정산을 하는 방식이지요
만약 오늘 주식을 팔았다면
2일 뒤에 실제 돈이 들어오지만
통장에는 돈이 실제로 있는 것처럼 생각하고
다시 다른 주식을 살 수가 있답니다
이것이 예수금인데요
그래서 나에게 주문을 낼 수 있는
예수금이 얼마가 있는지만 확인하면 된답니다
상한가와 하한가
우리나라는 주식 가격의 급등과 급락을 피하기 위해서
가격제한폭을 설정해두는 데요
가격제한폭은 주식시장에서 하루 동안
주식 가격이 오르고 내릴 수 있는 한계를
정해놓은 범위를 말합니다
이 범위는 상한 30%, 하한 30%입니다
세금과 비용
우리나라 주식을 매매할 때
3가지 비용과 세금이 있답니다
매매수수료
증권거래세
유관기관 수수료
이 3가지를 알아볼게요
매매수수료는 증권사에 납부하는 요금입니다
주식을 사고팔 때 증권사를 통해서
거래를 하기 때문에 수수료를 내는 것이죠
요즘은 매매수수료 0% 하는 곳이 많으니
잘 이용하면 매매수수료는 없답니다
증권거래세는 주식을 팔 때만 내는 세금입니다
현재 0.25%를 내야 합니다
투기와 투자
투기는 제로섬이지만
투자는 성장이지요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우수한 기업들이 성장하면서 만들어 낸
가치들이 돈이 되어 쌓이게 되면
내가 투자한 만큼 그 돈을 내 몫으로
보답을 받는 것입니다
'머니 m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 구글 주식 총정리 (0) | 2021.04.22 |
---|---|
AAPL 애플 주식 알아보기 (0) | 2021.04.21 |
존리 부자되는 방법 (0) | 2021.04.19 |
비트코인 BTC 사는 방법 (0) | 2021.04.14 |
신한지주 배당금 배당일 (0) | 2021.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