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펀드 세금을 알아보아요
연금저축펀드를 이용해서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지요
그래서 최근에 연금저축계좌에 대한 세금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도 많으시더라구요
이제는 연금저축펀드 에 대한 세금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연금저축펀드에는 5가지 세금이 있습니다
- 세액공제
- 연금소득세
- 종합소득세
- 기타소득세
- 이자소득세
연금저축펀드에는 위의 5가지 세금을 기억하면 됩니다
여러가지 상황을 들어서 내야할 세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일반 직장인이 매년 400만원 이상을 연금저축펀드에 넣었을 겨우
(세액공제로 최대 연 66만원 환급)
◆일반 직장인이 매년 400만원 만 연금저축펀드에 넣었을 경우
(세액공제로 최대 연 66만원 환급)
◆연말 정산을 하지 않는 주부나 학생, 비직장인이 연 400만원 연금저축펀드를 넣었을 경우
(환급은 없음, 과세이연)
◆연금 수령 순서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원금 ▶ 세액공제를 받은 원금 ▶ 이자
순서로 받게 됩니다
저축연급펀드는 최소 5년 이상 납입해야하고
10년 이상 보유해야합니다
그리고 수령시기는 만 55세 이후여야합니다
세액공제 외에 매년 납입하는 원금에 대해서 이자가 발생하는데
과세이연으로 이자소득세를 매년 부과하지 않아서
시간이 지나면서 복리효과를 누릴수 있습니다
즉, 연금을 수령하기 전에는 어떤 이자가 붙어도 세금부과가 되지 않는
과세이연의 혜택을 볼 수 있답니다
◆기억해야 할 점
국민연금과 공무원 연금을 제외하고
사적 개인 연금 수령액이 연 1200만원이 넘으면
연금수령액 전체에 대해서 종합소득세 부과가 됩니다
그래서 연금액이 클 경우에는 연금 수령기간을 반드시 길게 해야합니다
◆연금저축펀드와 IRP
연금저축펀드의 혜택과 더불어 개인퇴직연금 IRP 과 같이 가입을 하면
세액공제 혜택을 최대한 누릴수 있습니다
연 소득 5500만원 이하인 경우
연금저축과 개인퇴직연금 합해 연 700만원까지
16.5% 세액공제를 똑같이 받을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