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vs 삼성전자우 어떤걸 살까?
주식에는 보통주와 우선주가 있습니다
이름만 언듯 들으면 보통주가 하위이고
우선주가 상위일것 같은데
약간 개념이 다르죠
같은 종목인데 왜 뒤에 "우"가 붙었는지
왕초보 주린이들은 헷갈릴수가 있습니다
저도 주식매수창에서 현대차를 검색했는데
"우"가 붙은 종목들이 같이 검색이 되어서
많이 당황했었답니다
종목이름만 있는 주식은 보통주이고종목이름뒤에 "우"가 붙은 것은 우선주입니다
보통주는 의결권이 있고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습니다
대주주가 아닌이상
우리는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보통주보다는 가격이 저렴한 우선주를 사면 되는 거죠
그리고 배당금도 똑같이 주거나
우선주를 조금더 배당하기 때문에
우리같은 개미들은 우선주가 더 매력적입니다
그럼 삼성전자 와 삼성전자우를 살펴보겠습니다
삼전은 듬직한 종목이죠
다른 종목들이 날아갈때도
꿈쩍도 하지 않아서 엉덩이가 무겁다는둥
오만원에서 왔다갔다해서
오만전자라며 비아냥 거렸는데
한참 오르더니 요즘에는 정체중입니다
삼성전자 vs 삼성전자우의
지난 10년간 그래프를 살펴볼께요
의결권의 유무만 다르고 같은 회사이기때문에
그래프도 거의 비슷하게 흘러가고 있지요?
거의 같은 흐름으로 변화했습니다
그리고 현재 주가 가격만 비교한다면
보통주 10주 가격으로 우선주 11주를 살수가 있죠
그럼 삼성전자 보통주와 우선주 시가총액과 정보를 비교해볼까요
삼성전자 우선주는 시가총액이 60조가 넘습니다
현재 카카오와 네이버의 시가총액보다 높으며
어느 잘나가는 대기업보다 시총이 더 높습니다
삼성전자 우선주가 그만큼 시총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주식의 가치가 크다는 것이겠죠
그럼 삼성전자 보통주와 우선주의 주가 변화를10년전과 직접 비교해 볼까요
2010년~2020년 기준으로 했습니다
보통주 | 우선주 | |
2010년 12월 초 주가 | 약 19000원 | 약 12000원 |
2020년 12월 초 주가 | 약 70000원 | 약 65000원 |
10년 변화 | 약 3.7배 상승 | 약 5.4배 상승 |
이렇게 지난 10년간 보통주와 우선주의
가격 변화는 차이가 있습니다
10년간 보통주가 3.7배 상승했고
우선주는 5.4배 상승했습니다
보통주보다 우선주가 좋은 점들
삼성전자의 경우에 보통주보다 우선주의
주가가 조금 저렴합니다
그래서 같은 금액으로 우선주를 매수할 수 있는
주식의 수가 더 많아지게 되죠
더 많은 주식의 수로 더 많은 배당금도 받을수 있는데요
현재 삼성전자 보통주와 우선주의 배당금입니다
2018년 ~2020년 배당금 변화입니다
올해 2020년에는 보통주와 우선주의 배당금이
똑같아졌습니다
삼성전자 우선주는 주가도 저렴하고
오히려 배당금도 더 받거나 같습니다
우선주의 배당금으로 다시 재투자를 한다면
보통주보다 더 큰 복리효과도 볼수 있습니다
보통주가 우선주보다 좋은 점
일반적으로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가격변동폭이
심해서 안정적이지 않다고 생각하고
보통주를 더 선호합니다
그것은 시총이 낮고 우선주 수가 적은 주식에만
해당이 됩니다
우선주 수가 너무 적으면 매매가 힘들고
극단적으로 주가조작 가능성도 있지만
삼성전자는 우선주는 현재 시총이 54조원이 넘고
네이버, 카카오, 현대자동차보다 높습니다
그래서 변동성이 커지거나 주가조작등 가능성이
아주 낮기 때문에 안전합니다
그리고 보통주와 우선주의 주가 흐름이
항상 같이 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보통주의 상승폭이 크다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우선주가
매매차익에서 불리할 수도 있습니다
과거와 달리 현재 삼성전자 보통주와 우선주의
가격의 차이는 점점 좁혀지고 있습니다
2010년에는 괴리율이 40% 정도였는데
현재 2020년 12월에는 10%도 되지 않네요
그만큼 가격차이가 좁아져서
우선주의 매력이 조금 줄어들고 있습니다